[초록]
- 기존 단순한 업무지원의 부동산 데이터가 더욱 가치 있는 정보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는 역할과 위상이 존재
- 공공부문 부동산정보는 민원인과 지자체 담당자의 행정 업무 처리 과정에서 생산되기 때문에 입력오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고, 각 정보 간 연계가능성이 낮은 한계가 존재
- 민간의 경우 신기술을 접목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공공부문에 대한 데이터의존성, 유사한 정보의 제공 등 중복성, 특정분야에 정보 집중 등의 한계가 존재
- 충분성, 적시성, 편의성, 정확성·객관성의 평가기준을 토대로 부동산정보의 수준을 절대적으로 평가한 결과 모든 기준 모두 중요성은 높으나 만족도가 낮음
- 일반국민들은 계약, 보유 등과 같이 부동산활동의 의사결정을 위해 정보를 이용하는 경향이 강한데 반해 이에 큰 영향을 미치는 세금 및 부대비용, 금융 정보에 대해서는 충분성, 적시성, 편의성, 정확성·객관성에 대한 점수가 상대적으로 낮음
[목차]
주요 내용 및 정책제안
요약
제1장 연구의 개요
제2장 부동산정보의 개념과 관련 환경변화 전망
제3장 부동산정보의 생산·제공 현황과 이슈
제4장 국민체감형 부동산정보의 평가와 과제
제5장 국민체감형 부동산정보 생산 및 제공 기반 구축방안
제6장 결론 및 향후 과제
참고문헌
SUMMARY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