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종합적이고 국지적인 시각에서 부동산 시장을 분석 및 예측할 수 있는 부동산시장 진단 및 전망 모형, 즉 K-REMAP(The Krihs Model for Real Estate Market Analysis and Preestimate)과 물리적 정보시스템인 부동산시장상황분석시스템을 구축해 운영하는 것을 일차적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연구는 기존 부동산시장 관련 계량모형이나 정보시스템과는 다른 몇 가지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첫째, 부동산 시장을 진단하고 전망하는 방법에 있어 거시․미시경제 상황에 입각한 부동산시장압력정보, 심리정보, 그리고 정책파급효과정보, 공간정보를 적절히 융합하여 전국적·국지적 단위로 부동산 시장을 분석 및 전망한다는 특징이 있다. 둘째, 그 동안 시장에 큰 영향을 미쳐왔다고 추론은 되고 있었으나 근거가 취약했던 부동산 소비자의 심리요인과 부동산정책 파급 요인을 발굴하여 반영했다는 점 역시 큰 특징으로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소비자심리, 정책효과, 시장압력 등 현실시장과 이론시장을 결합하여 반영한 예측기제를 계량모형과 함께 응용 정보시스템으로 구축했다는 점은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광범위한 연구대상과 짧은 연구기간으로 인해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와 과제를 안고 있다. 먼저 부동산시장의 종합적인 판정의 근거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무수히 많은 자료의 안정적 확보가 중요한데 현실적으로 자료구득에 제약이 있었다. 그리고 기존 입지특성 분석을 위한 사용변수 외에 인근지역 개발호재, 주변 부동산 거래유무 등을 심리적 판단과 행동을 유발하는 결정 변수로 반영하는 부분과 정책파급효과를 지수화하는 방법의 지속적 보완이 필요하다. 향후에는 정부부처, 학계 등과 협력하여 이러한 부분을 보완 및 개선할 수 있도록 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가 잘 마무리 되도록 도와 준 여러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먼저 자문회의, 연구심의회를 통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주신 한양대학교 이항용 교수님, 중앙대학교 박헌수 교수님, 국회 예산정책처의 이환성 팀장님 그리고 원내외의 심의위원님들과 평가위원님들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아울러 어려운 여건하에서도 연구에 대한 열정 하나로 각자의 맡은 부분에서 최선의 노력을 다해 주신 손경환 주택토지·건설경제연구본부장님, 김재환 전문원, 박천규 책임연구원, 박미영 연구원, 손학기 책임연구원, 그리고 쉽지않은 요구조건을 묵묵히 수행하며 시스템 개발에 성의를 다해주신 (주)지노시스템의 김종익 차장님등 연구진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